알고리즘 PS/data structure

파이썬에서 해시맵 구현은 딕셔너리

explorer999 2024. 7. 26. 21:32

해시맵이란?

해시맵(HashMap)은 키-값(Key-Value) 쌍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이다.

 

해시 함수를 사용해 키를 배열의 인덱스로 변환하여 값을 저장하며, 파이썬에서는 dict 타입으로 해시맵을 구현하다.

 

 

 

파이썬 딕셔너리 사용법

 

파이썬의 딕셔너리는 해시맵의 모든 특성을 가지며,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들을 제공한다:

  • 값 삽입
phone_book = {}
phone_book["Alice"] = "123-456-7890"
phone_book["Bob"] = "987-654-3210"

 

 

 

  • 값 검색
print(phone_book["Alice"])  # 출력: 123-456-7890
 
 
 
 
  • 값 삭제
del phone_book["Bob"]
 
 
 
 
  • 값 존재 여부 확인
if "Alice" in phone_book:
    print("Alice's phone number is in the phone book")
 
 
 
 
 

딕셔너리 메서드

파이썬 딕셔너리는 다양한 메서드를 제공한다

 

 

  • keys(): 모든 키 반환
keys = phone_book.keys()
print(keys)  # 출력: dict_keys(['Alice'])
 
 
  • values(): 모든 값 반환
values = phone_book.values()
print(values)  # 출력: dict_values(['123-456-7890'])
 
 
 
 
  • items(): 모든 키-값 쌍 반환
items = phone_book.items()
print(items)  # 출력: dict_items([('Alice', '123-456-7890')])
 
 
 
  • get(): 키를 통한 값 반환 (키가 없을 때 기본값 설정 가능)
number = phone_book.get("Charlie", "Not Found")
print(number)  # 출력: Not Found
 
 
 
 
  • pop(): 키를 통한 값 반환 및 삭제
number = phone_book.pop("Alice")
print(number)  # 출력: 123-456-7890
print(phone_book)  # 출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