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I 방식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의 약자.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과 앱 등을 연계하고 통합해준다.
구축 유형으로는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허브 앤 스포크 방식, 메시지 버스 방식, 하이브리드 방식이 있다.
1. 포인트 투 포인트
1:1 단순 통합 방법으로, 솔루션을 구매할 필요 없이 개발자 간의 컺뮤니케이션으로 통합할 수 있다.
2. 허브 앤 스포크
단일 접점의 허브 시스템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며, 중앙 집중식으로 허브가 장애있으면 전체에서 장애가 발생
3. 메시지 버스 방식
앱 사이의 미들웨어(버스)를 두어 연계한다. 확장석이 뛰어나고 대용량 데이터에 적합하다.
4. 하이브리드 방식
그룹 안에서는 허브 앤 스포크 방식처럼 동작한다. 하지만 그룹 간에는 메시지 버스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룹 내 환경에 맞게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SB (Enterpise Service Bus)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들을 기업 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운영한다.
미들웨어 중심으로 느슨한 결합을 이룬다.
여기에서는 ESB 자체가 미들웨어이면서 아키텍처 패턴이다. 버스 방식은 확장성이 좋고 유연하다.
EAI는 기업 내부의 application간 단단한 통합이라면 ESB는 서비스 간의 느슨한 통합이다.
# WEB Service
네트워크에 분산된 정보를 서비스 형태로 개발하여 표준화한 방식
-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ML : 웹 문서를 표현하는 마크업 언어
-웹서비스의 유형: SOAP, UDDI, WSDL
1. SOAP :
HTTP, HTTPS, SMTP 등을 사용해서 XML기반의 메시지를 교환하는 프로토콜. Soap 대신 Restful로 대체할 수 있다.(REST method에서는 create, read, update, delete CRUD만 사용한다.) 아무튼 P로 끝나니까 프로토콜임.
2. WSDL :
Web servise description language.
웹 서비스를 설명하는 언어. 이거는 L이니까 아무튼 언어이다. 웹 서비스명, 제공 위치, 메시지 포맷, 프로토콜 정보 등. 웹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XML형식이다.
3.UDDI: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웹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WSDL을 등록하고, 검색하기 위한 저장소이다. 공개적으로 접근, 검색이 가능한 레지스트리이자 표준
<IPC 란?>
운영 체제에서 프로세스 간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기술이다.
주요 기법: 메시지 큐(통신 방법) / 공유 메모리(동시 접근 가능한 메모리) / 소켓(IP주소 + 포트 번호) / 세마 포어(각 프로세스에 신호를 전달해서 순서대로 수행하도록 함)
<LOD란?>
Linked Open Data를 말한다.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개별 URI로 식별하고, 각 URI에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웹을 지향함. 그래서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함.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 SQL응용 부분 (0) | 2024.07.29 |
---|---|
정보처리기사_네트워크 7계층 정리 (0) | 2024.03.14 |
정처기 5과목 정리 (0) | 2024.03.12 |
정처기 필기_c언어 구조체 활용 연습(2) (0) | 2023.07.27 |
정처기 필기_c언어 구조체 활용 연습(1)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