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되는 데이터들 중 메타데이터 같은 거 제외하고, 바디 부분 안에 있는 데이터. 전송 목적이 되는 그 데이터 자체를 페이로드라고 한다. 지급해야 하는 것은 차체, 운전자 무게 같은 거 다 빼고, 적재된 기름의 무게뿐이다. 그래서 지급해야하는 적화물 = 페이로드, 흥미 있는 데이터가 된 것.
-ICMP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Babel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변환해주는 도구(javascript 컴파일러)
ES6문법들을 예정 버전의 문법으로 변환할 수 있게 해줌→ 크로스브라우징할 때 자바스크립트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크로스 오리진(Cross-Origin)이란 한 웹페이지에서 다른 도메인(주소)의 리소스(데이터, 이미지, 스크립트 등)를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네이버 페이지에서 구글 서버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된다. 서로 다른 도메인 간의 요청이기 때문에 "크로스 오리진"이라고 부른다.
문제는, 보안상의 이유로 브라우저가 이런 크로스 오리진 요청을 기본적으로 막는다는 점이다. 해커가 악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요할 때만 허용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CORS이다.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다른 도메인의 리소스를 요청할 때, 그 요청을 허용할지 말지 서버에서 결정하는 방법이다. 서버는 특정 헤더(HTTP 헤더)를 사용하여 어떤 도메인에서의 요청을 허용할지 브라우저에 알려준다.
예를 들어, 어떤 서버가 모든 도메인의 요청을 허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헤더를 응답에 추가한다.
http
코드 복사
Access-Control-Allow-Origin: *
이렇게 하면 모든 도메인의 요청을 받을 수 있다. 특정 도메인만 허용하려면 * 대신 해당 도메인의 주소를 적는다.
def solution(cards1, cards2, goal):
for i in goal:
if i == cards1[0]:
del cards1[0]
elif i == cards2[0]:
del cards2[0]
else: return "No"
return "Yes"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2차 성공>
def solution(cards1, cards2, goal):
for i in goal:
if cards1 and i == cards1[0]:
del cards1[0]
elif cards2 and i == cards2[0]:
del cards2[0]
else: return "No"
return "Yes"
인덱스가 레인지를 넘어갈 수도 있다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조건문에 cards1과 cards2가 1개 이상의 요소를 가지고 있는가?